NULL

2진수 10진수 반환, 비트와 바이트개념 본문

C

2진수 10진수 반환, 비트와 바이트개념

1924 2016. 12. 13. 16:20


데이터 표현방식에서 가장 첫번째로는 


진수가 있겠다.



진수는 다들 알고있는 흔한


2 , 8 , 10 , 16 .... n 진수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10진수를 사용하고 있다.



2진수는 ?

0과 1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


8진수는 ?

0 ~ 7 까지가다가 10 11 12로 넘어간다.


10 = 8 , 11 = 9 , 12 = 10 인것이다.


16진수는 ?

0~9까지는 자연수로 가다가 그 이후

A~F까지 표현하다가 다시 오바되면

00~0F , 10~1F , 20~2F

이런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비트와 바이트



1비트가 8비트가 되면 1바이트가 된다.


2바이트는 16비트가 모여서 2바이트가 된것이다.


1바이트당 하나의 주소가 있다.


나중에 뒷단원으로 가다보면 심화설명이 있겠다.




2진수 10진수 변환법



예를 들어서 111111 숫자가 이렇게 있다고 가정하면


오른쪽부터 왼쪽순서로 2의 0승 ,1승 , 2승 ... N승


이런식으로 값이 증가하고


2진수로 5의 값을 표현하자면


1 0 1 가 되겠다.


2의 1승은 1이고 , 2의 3승은 4이니 


합치면 5이다.


이런 원리로 2진수를 표현할수있다.





10진수는 그냥 일상생활에서

쓰는 자연수이므로 자연수를 쓰면 되며


16진수는 0x가 앞에 들어가면 16진수로 인식한다.


8진수는 0으로 시작하면 8진수로 인식한다.



그냥 그대로 16진수 8진수 10진수에 맞는 서식문자를

입출력하게 되면 10진수 자연수를 써도 그대로 값이 나온다.

아니면 진수의 각 표현법대로 써도 그 값이 나오게 된다.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연산자 개념설명  (0) 2016.12.13
MSB비트와 2의 보수개념  (0) 2016.12.13
scanf 입력함수 개념  (0) 2016.12.13
논리연산자 이해  (0) 2016.12.13
관계연산자 이해  (0) 2016.12.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