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

리스트 함수개념 본문

Python

리스트 함수개념

1924 2020. 7. 15. 09:31

리스트는 c에서 함수와 같다.

 

[]로 열고 닫는다.

 

[]안에 값을 인덱스라고 부르며, 0부터 시작한다.

 

numbers = [ 1, 2, 3, 4, 5 ] 를 출력한다면

인덱스 0부터 4까지 1 ~ 5를 출력 할 수 있지만

 

반대로

print(numbers[-5])를 하면 5가 출력된다.

(이렇게도 사용할수있다는 점)

 

 

리스트 슬라이싱 (list slicing)

말 그대로 리스트를 짤라내는 것이다.

 

방법 1

print(numbers[0:4]) 

인덱스 0부터 4까지 짤라낸다.

 

방법 2

print(numbers[2:])

인덱스 2부터 끝까지 짤라낸다.

 

방법 3

print(numbers[:3])

인덱스 0부터 3까지 짤라낸다.

 

 

len

리스트 길이가 몇개인지 알수있다.

 

사용법 : print(len(리스트 이름))

 

 

.append 리스트 값 추가 (추가 연산)

 

사용법 : 리스트 이름.append(값)

 

하면 값은 맨 오른쪽에 추가된다.

 

 

del 리스트 요소삭제 

 

사용법 : del 리스트 이름[인덱스]

 

하게 되면 지정된 요소가 삭제된다.

 

 

insert 리스트 값 삽입 (삽입 연산)

 

사용법 : 리스트 이름.insert(인덱스 , 값)

 

하게 되면 원래 있던 값은 오른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트 정렬개념  (0) 2020.07.1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