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

리터럴상수와 접미사 본문

C

리터럴상수와 접미사

1924 2016. 12. 14. 11:34


리터럴상수는 말 그대로

이름을 지니지않은 상수이다.


무슨말이냐면



변수 num이 있다고 가정하자.


num = 30 + 40; 이라고 하는데


30과 40이라는 값은 이름이 없다.

그냥 메모리공간 어딘가에 존재하는 값일뿐

이름이 없기에 변경도 할수없다.


변수는 이름이 지정되있고

변경도 가능한데 

리터럴 상수라는 것은 이름 자체가없어서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변수처럼 이름이 존재하는게 아니다.

그냥 메모리공간 어디에만 남아있는것.



리터럴상수의 크기를 확인해보면

문자크기가 4바이트가 된것을 볼수있다.


리터럴상수에서

문자는 int형으로 표현된다.

정수나 실수는 기본적인

int, double형으로 표현된다.



이밖에도 접미사를 이용해서

상수의 자료형을 변경할수있다.



항상 기억해야할것은 컴퓨터는


자료형을 명시하지않으면

정수는 int로 연산하고

실수는 double로 연산하니까

항상 기억해야된다.



float변수를 선언했을땐


이렇게 접미사를 붙여서

float형이라고 표현해준다.


접미사는 대소문자 구분안해도 괜찮다.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 형 변환(Conversion)  (0) 2016.12.14
심볼릭상수 개념정리  (0) 2016.12.14
아스키코드 (ASCII)  (0) 2016.12.14
실수 자료형 정밀도선택  (0) 2016.12.14
unsigned, sizeof 함수  (0) 2016.12.1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