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
변수 자료형의 이해 본문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이러한 원리입니다.
변수를 선언할려면?
필요한 자료형과 변수의 이름을 정하고 그안에 값을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정수형 변수를 사용한다면
int num; 아니면 int num=10;
변수를 선언하거나 변수에 값을 초기화시켜서 값을 정해서 선언할수도 있습니다.
변수를 초기화하지않고 값을 출력해보면 이상한 값이 나타나는데
그것을 쓰레기값이라고 부릅니다.
쓰레기값이 나오지않게 하려면?
변수를 선언하는 동시에 0으로 초기화해주면 됩니다.
그래서 변수의 값을 초기화해줄필요가 있습니다.
int num=0; 이런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변수를 선언 할때는 함수의 윗부분에 선언해야합니다.
변수의 선언은 어디다가 하든간에 오류는 나지않지만
소스를 짤땐 항상 가독성있게 짜는것이 중요하기때문에
소스를 보기좋게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변수는 어떤것이 선언되었는지 중간중간마다 띄엄띄엄선언하면
어떤변수가 있는지 파악하기가 어렵기때문에
함수의 윗부분에 선언해야합니다.
변수의 이름 규칙은?
알파벳,숫자,언더바( _ )로 구성되며 대소문자를 구별합니다.
변수 num와 변수 NUM은 다른 변수로 인식한다는겁니다.
변수이름을 정할땐 변수사이에 공백을 사용할수없으며
변수이름의 시작이 숫자나 특수문자가 될수없다.
다만 허용되는 특수문자는 ( _ , & ) 뿐이다.
자료형은 크게 정수와 실수로 나뉩니다.
자료형에 따라서 변수의 데이터저장방식이나 크기가 다릅니다.
정수형자료형과 실수형 자료형에서 가장많이 쓰이는 자료형들은
int , double 입니다.
이렇게 변수를 써서 프로그램을 만들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