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20)
NULL
.push() 배열의 맨 뒤에 인자를 추가한다. .unshift() 배열의 맨 앞에 인자를 추가한다. .pop() 맨뒤 인자값을 지운다. .isArray() 배열인 경우 true 아닌 경우 false를 반환한다. .indexOf() 는 배열안의 특정 값이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반환해준다. .splice(0, 2) 라면 0번째 인덱스부터 2번째 인덱스까지 뺀 나머지 값을 반환한다. (배열 자체를 바꿈) .slice() 마찬가지로 .slice(0, 2)라면 0부터 2인덱스까지 짤린 값만 반환받는다. 배열을 바꾸지 않고 값만 반환해서 값을 저장할 변수가 필요하다. (배열을 바꾸지는 않고 값만 반환)

호이스팅이란? 변수나 함수 선언문 등 모든 선언문이 해당 스코프의 선두로 옮겨진 것처럼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js의 모든 선언문(var, let, const, function*, class)이 선언되기 이전에 참조 가능하다. 선언된 변수는 선언단계와 초기와단계가 한번에 이뤄진다. 즉, 스코프에 변수가 등록되고 변수는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 후 undefined로 초기화한다. 따라서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에 접근하여도 Variable Object에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undefined를 반환한다. 이러한 현상을 변수 호이스팅이라고 한다.

let fruits = "사과, 딸기, 포도, 참외"; fruits = fruits.split(", "); console.log(fruits); 특정값을 .split()값으로 짤라서 배열에 저장한다. fruits.split(", ")는 변수 fruits의 문자열안의 값을 ", " 단위로 짤라서 배열에 저장한다. 따라서 결과물은 "사과, 딸기, 포도, 참외" 문자열에서 ", "단위로 짜른 "사과" "딸기" "포도" "참외" 값이 각각 배열의 0번째 인덱스부터 저장된다.
var은 글로벌화되서 어떤 지역에서든 변수가 유효하며, 변수를 한번 더 선언해도 에러가 나오지 않거나 다른 값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간단한 테스트에서는 편리 할 수 있지만 코드량이 많아지면 어디에 어떻게 사용 될지 파악하기가 힘들어지며 값이 바뀔 수도 있다. 그래서 ES6이후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let, const가 나왔다. let은 변수 재할당은 가능하지만 재선언은 불가능하다. 이때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든다. const은 재할당, 재선언이 불가능하며, 재할당이 필요없는 상수와 객체에 사용한다. var는 동일한 변수명으로 재선언이 가능하지만 let은 동일한 변수명으로 재선언 할 시 오류가 발생한다. var a = 1; console.log(a); // 1 var a = 2..
contain이미지가 잘리거나 찌그러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제일 크게 설정.
1. git 다운 2. 플러그인 GitLens설치 3. vscode 깃 클론 4. 이름 이메일 명령어 입력 5. 패치 풀 (파일 업뎃) , 커밋 푸쉬(파일 전송) GitLens 커밋탭 목록 클릭 시 나오는 지구공 모형 (어떤 목록 상관없이) 누르면 패치됨
opacity로 불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opacity : 0 // 불투명도 100% opacity : 0.5 // 불투명도 50% opacity : 1 // 불투명도 0%
CSS background-attachment: fixed을 사용해서 파라렉스 디자인기법을 이용해서 웹사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https://opentutorials.org/course/2473/13856 Parallax(시차를 이용한 효과) - 생활코딩 수업소개 parallax는 시차라는 뜻으로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즉 멀리 있는 물체는 천천히 움직이고, 가까이 있는 물체는 빨리 움직이는 현상을 의미하죠. 이 현상을 이용하면 입체감, opentutorials.org
1 2 3 1 2 3 div p:first-child { font-size: 20px; } div p:first-of-type { font-size: 20px; } 구조 가상 셀렉터인 first-of-type는 div안의 p기준으로 p의 부모태그인 div안에 있는 첫번째 p를 선택한다. 반면 first-child는 div안에 있는 p기준으로 첫번째 p만 선택한다.
div 태그로 만든 Layer를 안보이게 하는 두가지 방법 1. display:none block 아예 사라지게 하는것. 보이지도 않고 해당 공간도 존재하지 않게 됨 2. visibility:hidden visible 보이지만 않고 해당 공간은 존재. width와 height값을 주었다면 그만큼 공간은 존재하게 됨 3. display = "" 하면 디폴트 값이 쓰여지게 되는데 이때 span 태그 안에 있으면 inline div 태그 안에 있으면 block 가 쓰여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