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
자동 형변환이라는 것은암시적(implicit Conversion)과명시적 형변환(Explicit Conversion)이 있다. 암시적은?자동으로 형 변환한다. 자동 형변환의 원칙은 표현범위가좁은 데이터타입에서 넓은 데이터타입으로의변환만 허용된다는 것이다. 만약 넓은 데이터타입에서좁은 데이터타입으로 변환한다면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예) float < double float 1~10 , double 1~100 float값이 10이라면 double로 형변환해도값의 손상이 전혀없다. 하지만 반대로 double값이 100인데 float로 형변환한다면float는 10이 최대범위라서10이 남고 90은 짤려나가서 손실된다. 정수와 실수도 마찬가지로실수가 3.0인데 정수로 형변환한다면소수점이 잘려나가서 3이 되고 반..
심볼릭상수는 const라는 선언을변수앞에다가 선언해주면 된다. 그리고 변수의 이름은모두 대문자로 표시한다. 둘이상의 단어를 연결할때언더바로 구분짓는다. 사용법은 const int MAX 이런식으로 말이다. 심볼릭상수와 리터럴상수의 차이점 심볼릭상수는? 변수를 상수로 지정하는것.메모리주소도 어디인지 알수있음. 리터럴상수는? 값에 이름이 존재하지않아서변경도 못하고 메모리공간어디에 위치하는지도 몰라서어쩔수없는 상수이다. 차이점을 잘 기억하자.
리터럴상수는 말 그대로이름을 지니지않은 상수이다. 무슨말이냐면 변수 num이 있다고 가정하자. num = 30 + 40; 이라고 하는데 30과 40이라는 값은 이름이 없다.그냥 메모리공간 어딘가에 존재하는 값일뿐이름이 없기에 변경도 할수없다. 변수는 이름이 지정되있고변경도 가능한데 리터럴 상수라는 것은 이름 자체가없어서변경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변수처럼 이름이 존재하는게 아니다.그냥 메모리공간 어디에만 남아있는것. 리터럴상수의 크기를 확인해보면문자크기가 4바이트가 된것을 볼수있다. 리터럴상수에서문자는 int형으로 표현된다.정수나 실수는 기본적인int, double형으로 표현된다. 이밖에도 접미사를 이용해서상수의 자료형을 변경할수있다. 항상 기억해야할것은 컴퓨터는 자료형을 명시하지않으면정수는 int로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