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
서식문자는 %로 시작합니다. 서식문자는 이렇게 여러가지입니다. 필요에 따라서 서식문자를 골라서 쓰시면 됩니다 외울필요는 전혀없습니다. 쓰다보면 손에 익어서 저절로 익혀집니다 서식문자는 변수의 값의 인자를 전달받을때 사용한다. 무슨 말이냐면 위에 사진을 보시면 printf("%d %d\n, 10, 20"); 가 있다. 1번째 %d라는 서식문자에 10을 대입하고 2번째 %d에는 20을 대입한다. 값을 쓴 순서대로 값을 전달한다. 쉽게 말하면 정수 10과 20을 출력하고 싶은데 %d 10진수 정수형의 서식문자를 나타내고 싶은 위치에 쓰고값을 문자열뒤에 써준다. 서식문자는 그냥 값이 들어갈 상자라고 보면 된다. 값을 표현하고 싶은 위치에 상자를 두고 값을 써주면 그 상자에 순서대로 값이 들어가는 그런 원리이다.
주석은 소스의 설명이나 메모를 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컴파일할때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않으며 개발을 할때 주석을 달아놓아야댄다. 남이 나의 소스코드를 볼때 좀 더 알아먹기 쉽게 또는 어떤 소스인지 표시할수있다. 소스코드는 글을 읽는거처럼 쉽지않기때문에 반드시 어떤한것을 만들땐 주석을 달아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주석의 사용법은? //을 하게 되면 행의 주석을 사용할수있으며 이 형식의 주석을 행단위 주석이라고 부른다. 여러 행을 주석으로 처리할땐 /* */ 이런식으로 주석을 묶어서 사용하면 되고이러한 주석은 블록단위 주석이라고 부른다. 뭐라고 부르는것이 중요한건 아니다그냥 주석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기때문에사용법은 익혀두자.
함수는 입력과 출력이 존재한다. 함수의 정의는?실행가능한 함수를 말하는것이다. 함수의 호출은?함수 실행을 명령하는 것이다. 인자의 전달은?함수의 실행을 명령할때 전달하는 입력 값이다. 함수로 시작해서 함수로 끝이난다. 제일 먼저 호출되는 함수는 main함수이다 main함수는 반드시 정의해야하며 함수에는 3가지를 표시한다. 제일 첫번째로는 함수이름이다함수이름은 함수를 호출할때 사용되는이름이다. 두번째는 출력형태이며 반환형(return type)이라고 한다.함수에서 값을 반환하는 목적으로 많이쓴다.출력목적으로 함수를 정의할땐 값의 반환이 필요없으니출력형태를 void로 써주면 된다. void란 ~가 하나도 없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없다라고 생각하면 편할것이다. 세번째로 입력형태는 입력형태이다.입력형태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