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LL
증감연산자는말그대로 증가연산자와 감소연산자로 나뉜다. ++, --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서 int i=0; 이라면 i++; 을 한다면 i는 0에서 1증가합니다. 반대로 --는 1감소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것은 증감연산자가 앞에 오는지 뒤에 오는지이것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i++; 과 ++i 이렇게 있다면 먼저 i++을 설명하자면 int i=0; printf("%d",i++); // 출력 후 증가연산예약printf("%d",i); // 증가수행 값 : 1 증감연산자가 뒤로 오면i는 출력하고 다음행에서i값을 증가시켜라 이뜻이 됩니다. 그래서 출력결과는 1이 됩니다. 이것을 후증감연산이라고 하며 반대로 ++i는 int i=0; printf("%d",++i); // i를 먼저 증가시킨후..
연산자의 종류는 = , + , - , * , / , % 등이 있다. = 는 대입연산자입니다. ex) int a = 1; 그외에 사측연산자로 볼수있는 것들은 + 는 덧셈연산자 - 는 뺌셈연산자 * 는 곱셈연산자 / 는 나눈 몫을 구하는 연산자 % 는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정도로 볼수있는데 이것은 피연산자 사이에 오면사측연산을 해주는 연산자기능을 하고피연산자사이가 아닌 다른곳에 위치하면사측연산자가 아닌 다른 연산자가 됩니다. 예를 들어 *의 경우 자료형과 변수이름 사이에 쓸 경우 포인터변수가 됩니다. 지금은 그냥 피연산자사이에 위치하면사측연산의 역할을 하는구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다른 개념들은 뒤에 가면배우니 걱정하시지않아도됩니다. 기본연산자들은 수학적 연산자들과 같은 기능을 하기에여기까지의 내용..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이러한 원리입니다. 변수를 선언할려면?필요한 자료형과 변수의 이름을 정하고 그안에 값을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정수형 변수를 사용한다면 int num; 아니면 int num=10; 변수를 선언하거나 변수에 값을 초기화시켜서 값을 정해서 선언할수도 있습니다. 변수를 초기화하지않고 값을 출력해보면 이상한 값이 나타나는데그것을 쓰레기값이라고 부릅니다. 쓰레기값이 나오지않게 하려면?변수를 선언하는 동시에 0으로 초기화해주면 됩니다. 그래서 변수의 값을 초기화해줄필요가 있습니다. int num=0; 이런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변수를 선언 할때는 함수의 윗부분에 선언해야합니다.변수의 선언은 어디다가 하든간에 오류는 나지않지만 소스를 짤땐 항상 가독성있게 짜는..